불교2 불교와 하이데거의 사상을 배우고(시간의 해석) 재행무상의 세상을 알고 임시적으로 구성된 나에게 집착하지 말자 순간의 연속성에 살아가는, 찰나생 찰나멸의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이기에. -불교의 시간 개념을 배우고-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꽃- 내가 의식하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존재자의 개념은 연구되어 왔으나 존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없다. 존재에 대한 정의의 범위가 막연하기 때문. 이것이 고대 존재론의 오류이다. 고대 존재론에서의 연구 주제인 ‘왜 존재하는가’ 보단 ‘지금 여기 존재한다’에 집중하는 것이 세상 속을 살아가는 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시간의 개념을 알고 있는 유일한 존재인 인간. 우리 인간은 보편화될.. 2023. 9. 9. 불교와 현대철학에 관하여 과거 서구 문명권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신은 빠질 수 없는 존재였다. 대부분의 생각과 행동은 신앙심과 깊게 관련되어 있었고 이는 곧 사람들에게 있어서 신은 없어선 안될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 세태에 대해 물음표를 던진 한 철학자가 있었으니 바로 니체이다. 그는 신과 천국이라는 초월적 존재를 동경하고 이를 삶의 동기로 삼아 살하가는 살아가는 것은 무의미하고 보았다. 내가 살아가는 곳은 신과 천국이 있는 곳이 아닌 아무것도 아닌 잿빛 대지 위이기 때문이다. 신과 천국을 위해 현재의 삶에서 욕구를 통제하고 무언가를 포기하는 것은 허무한 것이라 그는 주장한다. 대신 니체는 초월적 존재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아닌 바로 내가 살아가고 있는 쟃빛 대지위에서 스스로가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랬던 그의 어록중.. 2023. 9. 3. 이전 1 다음 반응형